임상시험정보

업계 뉴스

MASH 신약 돌파구 찾아라…제약사들의 새로운 시도

작성자 (주)헬프트라이알 날짜 2025-03-11 11:12:17 조회수 19

국내외 제약업계의 대사이상 관련 지방간염(MASH) 신약개발 향방이 엇갈리고 있다. 베링거인겔하임은 최근 유한양행으로부터 도입한 MASH 신약후보물질을 반환했다. 이 회사는 임상3상에 진입한 서보두타이드 개발에 집중하겠다는 계획이다.

현재까지 MASH 신약은 미국 마드리갈의 레즈디프라 만이 규제기관의 벽을 넘은 상황이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지난해 3월 레즈디프라를 비간경변성 MASH 성인 치료에 식이요법, 운동과 병행 요법으로 허가했다. 레즈디프라는 갑상선호르몬 수용체(THR)-β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약물로 간 내부에서 MASH의 핵심 발병원인을 표적하도록 설계됐다.

제약업계는 THR-β뿐만 아니라 지질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 섬유아 세포 성장인자(FGF21) 등을 타깃해 MASH 신약개발에 나서고 있다. 현재 노보노디스크, 아케로, 갈메드 등이 임상2/3상에서 가능성을 확인했다.

베링거, 유한양행에 MASH 신약 반환…길리어드에 이어 두번째

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유한양행은 베링거인겔하임에 기술수출한 MASH 신약후보물질 ‘YH25724’의 기술이전 해지와 권리반환을 통보받았다고 7일 공시했다.

지난 2019년 7월 유한양행은 베링거인겔하임과 YH25724의 기술이전 계약을 맺었다. YH25724는 GLP-1과 FGF21을 동시에 타깃하는 이중작용제로 전임상 단계에서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GLP-1 기전 활용 신약개발 활발

국내외 제약업계는 GLP-1과 FGF21의 활용 가능성을 주목하고 있다.

 

GLP-1은 포만감을 증가시켜 체중 감소에 효과를 보일 수 있으며, 인슐린 분비와 감수성을 개선해 혈당 조절을 원활하게 한다. MASH는 알코올 섭취량이 적거나 없는 사람의 간에 지방이 축적돼 발생하기 때문에 체중 감량은 MASH 환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알려진다.

 

미국 아케로, FGF21 타깃 신약후보물질 임상 선두

현재 FGF21을 타깃하는 신약후보물질 중 가장 앞서있는 건 미국 아케로테라퓨틱스다. 아케로의 에프룩시페르민은 지난해 대상성 간경변증 환자를 대상으로 MASH 임상3상을 종료했지만 FDA로 허가 문턱을 넘지 못한 바 있다.

 

FGF21은 에너지 소비와 체내 포도당, 지질 대사 조절에 관여해 MASH를 비롯해 비만, 당뇨병 등 치료제 개발에 활용되고 있다.

 

https://www.dailypharm.com/Users/News/NewsView.html?ID=321026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작성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