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24일 이같은 내용의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현황·전망'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세계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규모는 2408억5000만달러(약 352조5500억원)로 추산됐다. 지난해부터 10년간 21.11%씩 성장, 2033년 1조6351억1000만달러(약 2393조4740억)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는 성장을 주도하는 요인으로 스마트폰·태블릿·모바일 플랫폼 보급 증가, 노인 인구 확대, 만성 질환 유병률, 환자 중심 의료 솔루션에 대한 관심 등을 들었다. 반대로 성장 억제 요소로는 상호 운용성 문제와 높은 비용 등이 거론됐다.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핵심 트렌드로는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개인화된 건강관리'가 꼽혔다. 보고서는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기술은 원격의료 서비스 분야 혁신을 촉진할 것”이라면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멀티오믹스 기술 역시 의료 서비스의 새로운 지평을 열 것”이라고 밝혔다.
디지털 헬스케어 투자는 2021년 593억달러(약 86조8500억원)으로 정점을 찍었지만, 지난 2023년에는 절반 수준인 228억달러(약 33조3900억원)fh 급감했다. 디지털 치료기기 기업 페어 테라퓨틱스가 파산하고, 아킬리 등 선도 기업이 수익을 내지 못한 여파로 보인다.
현재까지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승인한 개별 소프트웨어 의료기기(SaMD)와 소프트웨어 포함 의료기기(SiMD) 도구 수는 801개였다. 중복 승인을 포함하면 지난해 6월까지 총 952건의 AI·머신러닝(ML) 관련 승인을 내렸다.
보고서는 “디지털 헬스케어는 차세대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산업으로, 국내 기업이 빠르게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기재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