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필수의약품 수급 불안정 문제 해결을 위해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네트워크를 구성, 의약품 생산에서부터 공급까지 전주기를 직접 챙기겠다는 각오다. 또, 직접 주문 생산 제도 활성화 차원에서 제약사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지난 30일 식약처 의약품관리지원팀 관계자는, '식약처 전문지 기자단' 측에 ‘주문 생산 제도 활성화’와 관련한 이 같은 입장을 전해왔다.
이에 따르면 식약처는 ‘필수의약품 공공 생산·유통 네트워크(이하 네트워크)'를 구축할 예정이다. 식약처는 특히, 필수의약품의 공적 제조가 개시되는 단계뿐 아니라 유통은 물론 환자 처방에 이르기까지 인센티브를 제공해 주문생산 제도를 더욱 확대한다는 구상이다.
‘필수의약품 주문생산 제도’는 채산성 이슈로 공급이 중단된 필수의약품을 제약사를 대상으로 제조 의뢰하는 사업이다. 제조 희망업체 선정 후 수량과 가격을 합의하고 한국희귀필수의약품 센터가 이를 구매해서 공급하는 구조다.
실제 식약처는, 지난 2016년부터 연도별 3~5품목을 순환 생산 공급하는 필수의약품 주문생산 제도를 운영해 왔다. 하지만 이를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논의할 수 있는 창구가 마땅치 않아 제도 운영에 한계가 있었다. 네트워크 구성 배경이다.
식약처도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지난달 26일 업계 대상 간담회에서 네트워크 구축을 공식화 한 것이다. 네트워크는 주문 생산 품목 선정, 참여 희망 업체 탐색, 관련 지원 등을 논의하는 정부-협회·단체-제약사 간 상설 협의체다.
식약처는 이번 네트워크를 통해 제약사 대상 인센티브 지원 제도 신설도 본격 논의할 계획이다.
식약처 관계자는 “현재 행정지원 외 업체 대상의 별도의 인센티브는 없다”며 “그러나 향후 추가 간담회를 통해 주문 생산 규모 확대를 위한 구체적으로 지원이 필요한 사항 및 인센티브에 대하여 본격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라고 확인했다.
이번 네트워크는 한국의약품유통협회 등 유통업체들도 참여 의사를 밝혀 눈길을 끌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필수의약품을 생산하고 공공입찰에 나서도 환자에게 직접 전달하기 위한 중간 단계인 유통 단계에서 협조가 잘 되지 않았다”며 “하지만 이번 네트워크 구성의 당사자로 유통업체들이 참석키로 해 필수의약품의 전주기 관리가 가능하게 됐다”고 반겼다.
나아가 식약처는, 의료·약업계를 대상으로 필수의약품 사용단계 논의를 위한 네트워크 확장도 만지작 거리고 있다.
식약처 의약품안전관리지원팀 관계자는 “우선 제조·유통업계 중심 네트워크를 구성해 국내 미공급 필수의약품의 허가 획득과 원활한 생산·유통에 필요한 제반 여건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