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일본 도쿄무역관 |
도쿄 분쿄구 의료산업 클러스터 중심 의료기기 제조
진단용 기기는 국산이 강세, 치료용 기기는 수입 비중 높아
수도권 의·공(의학, 공학) 클러스터...일본산 의료기기가 강세
도쿄의 분쿄구(文京区)는 대학병원과 다양한 의료기기 사업자들이 몰려 있으며, 의·공(의학, 공학) 클러스터로 알려진 '메디컬 힐즈'가 위치해 있다. 메디컬 힐즈에서는 의료 현장의 수요와 제조기업의 공급이 맞물리며 의료기기 제품 개발에 있어 시너지를 만들어내고 있다. 메디컬 힐즈는 1874년(메이지 7년) 도쿄대학 의학부의 전신인 도쿄의학교가 설립되고 그 후 5개의 의과대학이 추가로 생기자 그 주변에 의료기기 사업자들이 모여 들며 생겨나게 됐다. 지금은 도쿄대학교, 준텐도대학교, 일본의과대학교, 도쿄의과치과대학교, 일본대학교 부속 병원 등의 대학병원이 입지해 있다.
일본 정부에서도 '의·공 제휴'라는 정책을 펼치며 이러한 클러스터를 장려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임상 현장(의학)과 제조기업(공학)을 적극 연계시킴으로써 의료기기의 신기술 개발 및 도입을 가속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분쿄구 메디컬 힐즈는 의료 제조기업이 많은 오타구(大田区), 가와사키시(川崎市)와도 협력하며, '의·공 제휴'를 활발히 전개시키고 있다. 이런 움직임은 일본 의료기기 시장에서 일본 국산 제품의 비중을 높이고, 해외 수입을 줄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일본 의료기기 시장의 구조와 특징, 또 진출이 유망한 분야에 관해 알아보고자 한다.
세계 의료기기 시장에서 일본의 위치
글로벌 의료기기 시장은 선진국의 고령화와 신흥국·개발도상국의 인구 증가, 경제 발전과 함께 계속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2019년도 세계 의료기기 국가별 매출금액은 미국이 1위로 시장의 40%를 점유하고 있고, 미국과는 큰 격차가 있지만 일본 6.98%, 독일 6.94%, 중국 6.85%이 그 뒤를 잇고 있다. 또한 상위 10개국이 세계 의료기기 시장 매출액의 80%를 차지하고 있다.
<의료기기산업의 세계시장 점유율 및 시장규모 추이>
(단위: US$ 억, %)
[자료: 경제산업성, ‘의료기기 산업을 둘러싼 과제에 대해서’(2023.5)]
일본 의료기기 분류 및 시장 규모
일본에서 의료기기는 일반적으로 크게 진단용 기기, 치료용 기기, 기타 의료기기 세가지로 분류된다. 진단용 기기에서는 도시바(TOSHIBA), 올림푸스(OLYMPUS), 후지필름(FUJIFILM), 히타치(HITACHI) 등이 주요 제조업체이며, 치료용 기기에서는 테루모(TERUMO), 호야(HOYA), 니프로(NIPRO) 등이 잘 알려져 있다. 주요 진단용 기기는 내시경, CT, MRI 등이며, 치료용 기기에는 카테터, 심장박동기 등이 있다.
<일본 의료기기 분류>
[자료: 후생노동성, ‘의료기기 약사승인에 대하여’]
2021년 경제산업성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일본 의료기기 시장(약 2조9000억 엔)에서 치료용 기기는 59%, 진단용 기기는 2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 중 진단용 기기는 일본 제품들의 글로벌 경쟁력이 높아 수입 비중이 낮고 일본 병원에서 국산품 도입률이 높은 편이다. 또,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이 상대적으로 낮다. 진단용 기기에서 수입비중이 높은 품목은 화상 진단용 X선 관련 장비 및 용품(50.9%)이다.
이에 반해, 치료용 기기 분야는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도 높고 전체적으로 수입 비중도 높은 편이다. 특히 수입 비율이 높은 제품군은 동제기구(79.5%), 치료 및 수술용 기기(79.3%), 생체 기능 보조·대행기기(67.0%) 등이다. 기타 의료기기에서는 위생재료·위생용품(85.4%), 안과용품 관련 상품(79.3%) 등의 수입 비중이 높았다.
<일본 의료기기 시장 제품별 비중>
(단위: 억 원, %)
[자료: 경제산업성, ‘의료·복지기기 산업정책에 대하여’(2021.2)]